DevOps (36) 썸네일형 리스트형 [AWS] CloudWatch로 EC2 인스턴스 종료 모니터링 EC2가 종료되는 이유는 다양한데 어쨌든 종료되는 시점을 알아서 관련된 이슈에 대응하기 위해 cloud watch를 통해 경보를 추가하고 슬랙 알림을 받을 수 있도록 했습니다. 이상 지표 슬랙 전송 관련된 내용은 해당 포스트에서 작성하지 않겠습니다. https://juyeonee826.tistory.com/127?category=954032 [AWS] CloudWatch 이상 지표 슬랙 전송(SNS, Lambda) 위와 같은 순서로 cloud watch에서 발생한 경보를 슬랙으로 전송합니다. 진행 순서 1. slack 웹훅 url 생성 2. amazon sns 주제 생성 3. lambda 함수 생성 4. lambda 함수 트리거로 위 생성한 주제 선택 5. cloud.. juyeonee826.tistor.. [AWS] CloudWatch 이상 지표 슬랙 전송(SNS, Lambda) 위와 같은 순서로 cloud watch에서 발생한 경보를 슬랙으로 전송합니다. 진행 순서 1. slack 웹훅 url 생성 2. amazon sns 주제 생성 3. lambda 함수 생성 4. lambda 함수 트리거로 위 생성한 주제 선택 5. cloud watch 지표 선택 후 알림으로 위 생성한 주제 선택 slack 웹훅 url 생성 https://juyeonee826.tistory.com/119 Amazon SNS 주제 생성 Lambda 함수 생성 index.js 코드 https://jojoldu.tistory.com/586 여기 코드 참조했는데 정상 상태로 변경됐을 경우 디스크립션 다르게 보내도록 수정했습니다. // 구성 -> 환경변수로 webhook을 받도록 합니다. const ENV = p.. [AWS/CodeDeploy] CodePipeline 배포 실패 배포 실패 메시지 Deployment completed, but with errors: During an aborted deployment, some instances may have deployed the new application version. To ensure all instances are running the same version, re-deploy the appropriate application version. Failed to deploy application. Unsuccessful command execution on instance id(s) 'i-07997fadcf4cf89c5'. Aborting the operation. 해결 시도 EC2 스토리지에서 볼륨 크기 증가 실패 E.. [AWS/EB] EC2 재생성 원인 찾기 서버가 다운되어 원인을 찾아보니 EC2가 재생성 되어 있었습니다. 도커로 배포한 어플리케이션이라서 그런지 새로 생성된 ec2에는 떠있는 도커가 없었습니다... 이럴 때는 빈스톡 로그를 봅니다... 자기 혼자 플랫폼 업데이트를 진행했네요. 가차없이 비활성화 시켜버립니다. [Docker] 컨테이너 실시간 로그 보기 명령어 실시간 읽기 -f 옵션 마지막 100줄 읽기 docker logs --tail 100 -f [containerId] 컨테이너 시작 시점부터 읽기 docker logs -f [containerId] [AWS/EB] 빈스톡 상태 오류 원인 찾기(EB HealthChecker path 수정) 입사 초기에 사수님께 빈스톡 워닝이 왜 뜨는지 여쭤봤었는데 신경 안 써도 된다고 하셔서 어플리케이션은 정상 작동하니까 진짜 신경 안 쓰고 있었는데 그 사수님께서 갑자기 빈스톡 워닝 원인을 좀 찾아보라고 하셔서 찾아보았습니다. 상태 원인을 보면 몇 가지가 있었습니다. 100.0 % of the requests are failing with HTTP 5xx. Process default has been unhealthy for 95 days (Target.ResponseCodeMismatch). 93 % of memory is in use. 오늘은 1번 원인에 대해 알아보고 해결해보겠습니다. 1번은 빈스톡에서 자체적으로 제공해주는 health checker에서 보내주는 알림입니다. 해당 워닝이 뜬 서버의 n.. [ELB/Nginx] beanstalk으로 배포된 서버의 Nginx 설정 파일 업로드 API가 호출될 때 413 Payload Too Large 오류가 발생해서 nginx 설정을 추가해야 했습니다. ec2 접속해서 /etc/nginx/nginx.conf에 설정을 직접 추가했는데 어플리케이션을 재배포 할 때마다 설정된 게 초기화 되더라구요. 알고보니 beanstalk으로 배포한 서버는 nginx 설정을 따로 해야 하더라구요. 저희 서버 플랫폼은 Amazon Linux2입니다.(Linux1은 설정 방식이 다릅니다.) 1. 프로젝트에 .platform/nginx/conf.d/custom.conf 설정 파일 추가 # 프로젝트 구성 . ├── (생략) ├── module_01 │ ├── .platform │ │ └── nginx | | └── conf.d │ │ └── custom.c.. [Jenkins] 젠킨스 배치 실패 시 재시도 플러그인 설치(Naginator) 매일 실행되는 job이 있는데 주말에도 실패하면 직접 다시 실행해줘야 하는 불편함을 6개월 정도 지나고서야 배치 자동 재시도를 검색해보았다. Naginator라는 플러그인을 설치하면 된다. fixed delay는 60 = 1분 참고 https://morningame.tistory.com/147 [Jenkins] 빌드 실패시 재시도 설정하기 [INFO] ------------------------------------------------------------- [ERROR] COMPILATION ERROR : [INFO] ------------------------------------------------------------- 젠킨스 빌드시 간헐적으로 실패하.. morningame.tistory.co.. 이전 1 2 3 4 5 다음